1,2라운드에서 보여준 박창현호의 전술의 한계점에 대하여
1,2라운드 호성적의 비결의 핵심은 황재원, 라마스, 한종무라고 생각함. 하지만, 전반적인 공격전술에서 가장 핵심의 축에 서 있는 선수는 황재원, 라마스이고. 지금 우리 전술이 흔들리고 파훼법이 드러난 이유도 상대가 황재원, 라마스에 대한 적극적인 압박이 있기 때문이라고 봄.
1. 황재원의 역할에 대하여.
1,2라운드 경기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빌드업의 중심은 황재원이었음을 알 수 있음. 1,2라운드에서 박창현 감독은 4백을 가져오면서 스타일을 바꾼 모습을 보였지만, 공격전술에 있어선 사실상 변형쓰리백에 전술을 구사함. 그 변칙 전술의 핵심은 바로 '황재원 시프트'임. 황재원이 적극적으로 중원에 가담하여 빌드업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빌드업 전술에서 라마스와 함께 대구의 볼운반을 담당하는 모습을 보임. 덕분에 에 대구는 상대팀에 중원싸움에 밀리지 않았고 라마스와 황재원의 찰떡궁합 + 세징야까지 어어지는 공격전술의 축을 만드는데에 성공함.
2. 전술이 흔들리게 된 근본적인 문제.
이 역시도 황재원 때문임. 황재원이 적극적으로 중원싸움에 가담하여 경기를 주도하는 양상으로 흘러가자, 대구의 전술을 분석한 상대들은 적극적으로 황재원의 중원가담을 견제하기 시작함. 일단 사이드백인 황재원의 특성상 황재원이 공격에 가담할 시, 수비라인에 공백이 생겨버리는데 상대는 적극적으로 압박을 시도하며 황재원이 중원에 가담하지 못하게 황재원을 틀어막기 시작함.
대구의 빌드업 전술은 결국 황재원이 묶이면서 문제가 시작되기 시작함. 라마스가 황재원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자 직접 황재원이 있는 오른쪽 사이드까지 내려와 공을 받으려고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시작됨. 라마스가 수비라인까지 내려와서 직접 빌드업을 하려고 시도하게 되니 공격진영에서 공을 받고 공격을 해야할 세징야도 공을 받기 위해서 미드라인까지 내려오게 됨. 황재원이 결국 막히면서 대구의 전술이 무너지게 되는것임.
3. 개선해야할 것.
지금 쓰리백이니 포백이니 그게 중요한게 아니라, 빌드업의 축을 다변화하는게 가장 필요함. 요시노, 한종무, 정우재 같은 선수들로부터 빌드업의 창의성을 끌여올려야함. 이 팀의 창의성이 황재원, 라마스에 집중되어 있으니 둘 만 막으면 대구는 아무것도 못한다는게 디폴트 값이 됨.
가독성을 위해서 GPT한테 정리를 맡김.
--
🔍 대구FC의 1·2라운드 호성적의 핵심: 황재원과 라마스
1·2라운드 대구의 경기력은 단순히 개인 기량에 의존한 것이 아니라, 황재원, 라마스, 한종무를 중심으로 한 명확한 전술적 구상 위에서 이뤄진 성과였습니다. 특히 공격 전술의 핵심 축은 황재원과 라마스로, 이 둘이 팀의 빌드업과 전진 패스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대구의 공격 전개를 주도했습니다.
⚙️ 1. 황재원의 전술적 역할
-
박창현 감독은 4백 시스템을 가져오며 수비적 안정성을 꾀했지만, 빌드업 상황에서는 ‘변형 쓰리백’을 구사했습니다.
-
이 전술의 핵심은 바로 **‘황재원 시프트’**입니다. 황재원이 적극적으로 중원에 올라가면서 라마스와 함께 빌드업을 주도하고, 공격의 출발점을 형성했습니다.
-
황재원의 중원 침투와 볼 운반 덕분에 라마스는 좀 더 공격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고, 세징야와의 연계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
결과적으로 중원 싸움에서 밀리지 않으면서, 세 선수 간 시너지가 폭발한 것이 1·2라운드의 핵심 성공 포인트였습니다.
❗ 2. 전술이 흔들린 근본적 이유: 황재원의 견제
-
상대 팀들은 황재원의 역할을 간파했고, 이후 황재원의 중원 가담을 견제하기 시작했습니다.
-
사이드백인 황재원이 중원에 올라서면 본래 위치인 수비 라인에 공백이 생기고, 상대는 그 틈을 노려 압박과 역습을 시도합니다.
-
황재원이 효과적으로 중원에서 플레이하지 못하게 되자, 라마스는 점점 더 후방으로 내려와야 했고, 이는 공격진 전체의 전진 타이밍을 어그러뜨리게 됩니다.
-
세징야마저 중원으로 내려오면서 공격 전개 구간이 길어지고, 골 결정력과 기회 창출도 함께 줄어들게 되는 악순환이 시작됩니다.
-
결국, 황재원이 틀어막히면 대구 전술 전체가 무너지는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난 셈입니다.
🔧 3. 개선 방향: 빌드업 다변화와 창의성 분산
-
현재 대구는 황재원-라마스에 창의성과 플레이메이킹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는 상대 입장에서 오히려 파훼법이 명확해지는 구조입니다.
-
요시노, 한종무, 정우재 같은 선수들에게도 빌드업의 책임을 일부 나눠주어, 공격 전술의 루트를 다양화해야 합니다.
-
황재원이 견제당할 경우를 대비한 ‘Plan B’ 전술 확보, 그리고 중앙에서만 아니라 측면을 활용한 전진 패턴 도입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
무엇보다도, ‘누가 올라가고 누가 커버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팀 약속이 재정비되어야 합니다.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